Category: 발효기사

Read More

발효기사: 대항마 포지셔닝

 

올해 3월 여성의 날 즈음하여 월스트리트의 황소상과 마주 보는 자리에 설치된 두려움  없는 소녀상(fearless girl statue)은 많이 신선했다.

포지셔닝은 언어적이고 개념적으로 사고되기 쉬운데 소녀상을 황소상 앞에 -글자 그대로- 포지셔닝 시키는 순간 절묘한 맥락과 새로운 의미가 생겨났다. 스마트했다. ‘대항마 포지셔닝’의 완벽한 케이스라고 생각했다. 잊고 지내다가 최근 이 소녀상에 대한 외국기사를 번역한 아래의 글을 읽었다.

발효기사: 넷플릭스 & 무인양품

particles

9400만 가입자 거느린 스무살 넷플릭스의 습격

거침없다. 넷플릭스 창업자 리드 헤이스팅스의 인터뷰. 기사 제목은습격이지만 전면전, 선전포고에 더 가까운 내용이다. 넷플릭스는 기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소매유통을 담당하면서 시작된 기업이지만 이제와해성 기술’(disruptive technology: 몇몇 산업을 완전히 파괴하거나 특정 분야를 교란할 능력이 있는 기술)의 프론티어로 등극했다

Read More

발효기사: 2017년 4월 첫 번째

particles

2017년 3월 마지막 [발효기사]와 4월 첫 번째 [발효기사] 사이에
2017년 프로야구 시즌이 시작되었고  5개 정당의 대선 후보가 결정되었습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의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불황
극복한 일본 유통업체의 비결…’데이터, 개선, 전문성

일본의 편의점이 고령층 소비의 핵심경로로 활용된다라는 분석이 흥미롭다.

발효기사: 2017년 3월 네 번째

particles

3월 [발효기사]의 세 번째와 네 번째 사이에 봄은 완연해졌고 세월호는 인양이 되었습니다.
제대로 다시 시작하는 우리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조직을 말려 죽이는 Micromanager

마이크로 매니저에 대한 흥미로운 글이 있어 소개한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었는데- 이 글에 따르면 나는 전형적인 마이크로 매니저다. 나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지만 함께 일했던 사람들의 스트레스는 더 컸으리라… (미안합니다)

발효기사: 2017년 3월 세 번째

particles

지난주에 발효기사와 관련해 질문이 들어왔습니다.
저희가 너무 불친절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기사원문을 보고 싶으시면 제목을 클릭하세요.

*

접시닦이를 동업자로 찜했다, 덴마크 ‘미쉐린 식당’

외식업과 관련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프랑스 출장까지 가서 음식을 먹어보는 호사를 누려본 적이 있었다. 그때 처음으로 ’미슐랭 가이드’를 ‘미쉐린’이 만든다는 사실을 알고 경악했던 기억이 난다. (요즘은 ‘미쉐린’이 만드는 ‘미쉐린 가이드’로 -제대로 한국에 맞게- 표기해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 같아 다행이다.) 각설하고… 한국에도 NOMA와 같은 기업들이 많이 나오면 좋겠다. 브랜딩 효과 측면에서도 탁월하지 않은가?

Read More

발효기사: 2017년 3월 두 번째

particles

내일은 뉴스의 홍수가 예보되어 있다. 보관하고 곱씹어 볼 가치가 있는 기사를 방주(方舟, ark)에 태워 오늘 내보낸다. 새로운 시대의 출발을 알리는 뉴스가 쏟아져 홍수가 되는 내일을 기다리며…

*

제네릭 가전

‘제네릭 가전’이라는 조어(造語)의 참신성이 마음에 드는 기사다. 급속한 노령화와 구조화된 저성장이 시작된 우리에게 있어 일본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영화의 예고편 같은 존재라서 항상 관심이 간다.  아마도 가전 외 영역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네릭化’가 우리나라에서 전개가 될 텐데 계속해서 눈여겨 봐야할 흐름이다.

Read More

발효기사: 2017년 3월 첫 번째

particles

오랜 친구의 조언을 받아들여 매주 1회로 발행간격을 조정했다. 매주 목~토 사이에 올릴 예정이다.

*

브랜드는 과연 정치적 의견을 표명해야 하는가?

민감한 주제다. 저자의 견해에 총론적으로 동의한다. ‘한국적 상황과 맥락’이 언급이 되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발효기사: 2017년 2월

particles

너무 높은 기준을 가지고 ‘채집’을 하면 안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발효’가 되기도 전에 존재 자체를 잊을 것 같기도 하고 PEAK15가 퓰리쳐상을 줄 것도 아니고… 월 2회 정도 기사 제목, 링크, 일부 인용 정도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해 보려고 한다.

*

‘지식 셀럽’과 방송의 공모, 괜찮은 걸까

우리시대가 지식을 유통하고 소비하는 방법에 대한 기사. 기사는 재미있고 문제 제기는 정당하지만  지식 셀럽을 묘사하고 공격하는 방식은 ‘지식 셉럽’의 방식을 닮아있다. ‘그대의 수법을 그대에게 펼친다’라고나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