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브랜드

Read More

발효기사: 브랜드에 대한 오해

particles

시기적으로 동떨어져 있는 두 개의 기사를 골라담았다. 하나는 서강대 전성률 교수가 작성한  [2016년 소비자의 선택] 심사평이다. [소비자의 선택]은 중앙SUNDAY가 주최하고 중앙일보,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브랜드 시상식이다.(2016년 기준) 작년에 이 시상식 관련 기사를 눈으로 훑으면서 떠올렸던 생각들은 대략 이런 것들이었다. 기업과 미디어의 시대착오적 콜라보레이션… 조선시대에는 돈으로 관직을 샀다고(賣官賣職) 후손들이 기억하는데 오늘날에는 브랜드가 돈으로 상을 산다(賣賞賣勳). 온갖 시니컬한 생각들에 신문을 덮으려 할 때 전성률 교수의 심사평이 눈에 들어왔다. 나는 그의 강의를 수차례 들었고 그때마다 큰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심사평을 그냥 넘길 수는 없었다.

발효기사: 2017년 3월 세 번째

particles

지난주에 발효기사와 관련해 질문이 들어왔습니다.
저희가 너무 불친절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기사원문을 보고 싶으시면 제목을 클릭하세요.

*

접시닦이를 동업자로 찜했다, 덴마크 ‘미쉐린 식당’

외식업과 관련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프랑스 출장까지 가서 음식을 먹어보는 호사를 누려본 적이 있었다. 그때 처음으로 ’미슐랭 가이드’를 ‘미쉐린’이 만든다는 사실을 알고 경악했던 기억이 난다. (요즘은 ‘미쉐린’이 만드는 ‘미쉐린 가이드’로 -제대로 한국에 맞게- 표기해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 같아 다행이다.) 각설하고… 한국에도 NOMA와 같은 기업들이 많이 나오면 좋겠다. 브랜딩 효과 측면에서도 탁월하지 않은가?

[조선비즈] 오너 가족 무더기 수사·재판은 왜?

2015.9.1 조선비즈 조귀동 기자의 기사에 PEAK15 김봉수 대표의 코멘트가 소개되었습니다. 기업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인 김봉수 피크15 대표는 “오너의 ‘브랜드’가 한 번 나쁜 쪽과 연결되면 쉽게 떨쳐내기 어렵다”며 “결국 브랜드가 계속해서 나빠지게 되고, 그 과정이 누적되는 것”이라고 […]